본문 바로가기

소득공제2

온누리 상품권 전통시장 사용 바로 알기 (연말정산 전통시장 사용분 관련) 이 글은 온누리로 150만원을 넘게 썼는데 연말정산 간소화에 전통시장 사용분이 고작 4.7만원밖에 안나와서 왜그런가 이유를 알아보고 빡쳐서 씁니다.   나는 애시당초 온누리상품권이라는 것 자체가 전통시장으로 등록된 곳에만 사용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왜냐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발행되었다고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홍보도 그렇게 하지 않았나?)  그래서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할인 할 때 사뒀다가 이것저것 살때 썼었다. 왜냐면 직장인에게 전통시장/대중교통/도서공연비로 추가 소득공제가 되는 200만원은 매우 소중하기 때문. 그런데 오늘 국세청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된 전통시장 사용분을 보고 충격을 받아서 이리저리 뒤져보았다. 2024년 전통시장 사용분이 꼴랑 4.7만원밖에 안들어가있었다.  결론을 말하기.. 2025. 1. 16.
2023년 건보료, 소득세, 최저임금, 연금, 종부세, 증권거래세 등 변화사항 ㅁ 건강보험료 (건보료) : 1.49% 인상 ㅇ 직장가입자(소득×%) : 3.495 → 3.545% ㅇ 지역가입자(부과점수×원) : 205.3원 → 208.4원 ㅁ 최저임금 5% 인상 ㅇ 시급 : 9,160원 → 9,620원 ㅇ 월급 : 209시간 201.05만원 ㅁ 연금인상 : 5.1% 인상 (물가상승율 반영) ㅇ 직역연금(공무원,사학,군인,별정) ㅇ 국민연금 ㅁ 기초연금 : 4.7% 인상 ㅁ 이자소득세(세금우대) ㅇ 예금 3000만원 한도 ㅇ 1.4%(22년) → 5.9%(23년) ㅁ 소득세법 개정 ㅇ 1200만원이하 → 1400만원이하 ㅇ 4600만원이하 → 5000만원이하 ㅇ 식대소득공제 (10만 → 20만원) ㅇ 연금소득공제 (7백만 → 9백만원) ㅇ 신용(체크)카드소득공제 연소득7천만원이하(3.. 2023. 1. 27.